오늘 니체에 관하여 생각을 잠시 하였다.
솔직히 말하면 주변 사람들을 믿고 있었는데 더는 믿지 못하게 되는 상황에 처하게 되었는데
이런 막다른 길에 다다른 상황이면 나는 "내가 만약 ~~ 였다면" 이라고 생각하며 극복 방안을 찾는 스타일인데
평소에는 주변인들의 관점에서 생각하는 경우가 많았는데
오늘은 불현듯 니체였다면? 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사람들을 믿지 못하는 것도 어쩔수 있겠나.
마일리 사일러스도 이런 복잡하고 더러운 감정이 들면 그것을 승화시켜서 노래를 만들었는데
나도 글을 잘쓰지는 못하지만, 연습하면 언젠가는 누군가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글을 쓸수 있지 않겠나 하는 마음으로 이런 감정으로 마음이 뜨거워질때 글을 써보기로 생각했다.
니체는 사람을 낙타와 사자, 어린아이로 설명했다.
낙타는 낙타처럼 평생 짐을 옮기고 사람을 태우고 다니다가 죽음을 맞이하는, 순종적으로 삶을 살아가는 사람. 그래서 자유로운 내삶은 살지 못하고 시키는 것만하고 남탓만 하는 사람
사자는 자유로운 사람. 근데 그 자유에 선이 없는 사람. 그냥 내멋대로 살아가는 사람
그리고 어린아이. 어린아이처럼 세상을 바라보고 살아가는 사람
삶에 대해 yes라고 말하고 호기심이 가득하게 세상을 살아가는 것. 남의 눈치를 보지 않고, 자신의 삶을 살아가는 존재.
니체는 사람들은 낙타로 살다가 사자가 되고, 사자로 살다가 깨달음을 얻어서 어린아이가 된다고 했다.
나는 낙타-사자 그쯤 사이인데 아직은 낙타에 가까운것 같다.
어린아이처럼 세상을 재미있게 받아들이자고 생각한지 얼마 되지 않았는데, 이제는 살아갈 날이 이제는 더 짧아진 요즘에서야 후회를 하고 조금은 세상을 즐겨보자 생각이 든다.
다음은 초인이다.
Übermensch
내가 제일 좋아하는 독일 단어다.
'초인'이라는 의미다.
내가 살아가고 있는 삶을 사랑하고 내삶이 영원회귀로 무한히 반복될지라도 사랑할 수있는 자.
인간을 뛰어넘는 자율적이고 독립적인 인간.
영원회귀로 내 삶을 받아들이고 인정할때 내 삶의 경험은 매우 특별한 것이 된다.
지금의 나는 사실 뭐가 문제일까? 나한테 문제가 있을까? 원인을 찾아서 문제를 해결해 보려고 생각했는데
니체가 만약 나였다면, 더이상 주변 사람들을 믿지 못하는것 아닌가? 라고 생각했다면니체는 아마 이러한 경험과 감정마저도 특별하게 느끼고 신기해 했을 것 같다. 그리고 그대로 받아들이고 그가 하고 싶었던, 계획했던 하루 일과를 하면서 보냈을 것 같다.
다른 사람들이 어떻게 생각하건 어떻게 하건 사실 나와는 크게 관계가 없다.
그냥 나의 삶을 살아가면 된다. 다른사람의 행동이 나의 영역에 넘어와서 뭔가 영향력을 주지 않는 이상은 굳이 반응할 필요가 없고, 그러한 감정마저 즐겨버리면 그만이다.
세상에 낙타와 사자가 많지만, 굳이 나도 낙타와 사자가 되어 머리와 마음속이 어지러워질 이유는 없는 것이다.
그냥 내가 사랑하는 내 삶을 살아가면 되는것.
그리고 결코 이것이 남을 무시하라는 의미는 아니다. 이세상의 낙타, 사자와 함께 살아가며 이해하는 존재가 되라는 의미로 느꼈다.
결벽증 환자처럼 나와는 맞지 않는다는 이유로 벗어난다면 나는 또다른 낙타와 사자에 불과할 것이다.
그것 또한 나의 세상과 삶으로 받아들이고 즐기는것.
나는 니체가 아니기 때문에 니체처럼 100% 삶을 살아갈수도 없고, 니체 본인도 결국 초인은 되지 못했다.
다만 삶을 이해하는 방식을 볼 뿐이다.
그리고 또 이 고비도 흘려보내고 내삶을 살아가기 위한 것일 뿐이다.
모두가 다른사람의 인생에 관심없다는 말은 거짓말이다. 연예인보면 알지 않나?
이세상엔 호사가들이 많다. 그 호사가들을 우리가 다 처리할 순 없으니
우리는 우리의 삶을 살아가야 하는 것이다.
'2025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적당히 하자 (0) | 2025.01.23 |
---|---|
교훈이 도대체 뭔데!!!! (0) | 2025.01.22 |
강좌평가에 대해서 (0) | 2025.01.20 |